본문 바로가기

클래식11

첫 장면 - "Che gelida manina(푸치니 <라 보엠> 중)", Luciano Pavarotti 루치아노 파바로티가 부른 푸치니 오페라 중 Che gelida manina(그대의 찬 손).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지휘, 베를린 필 연주. 카라얀과 협연한 공연 중에선 파바로티 단독 버전으로 올라온 게 없다. 아쉬운 딴에나마 녹음된 버전으로. ** 이 곡에 대한 첫 장면을 곰곰이 생각해 봤다. 대학교 2학년 무렵의 장면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걸 보면 10여 년도 더 된 기억이다. 파바로티가 그해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명세 때문이기도 했겠지만, 그때의 내게는 좀 더 묵직한 진파를 가지고 전해진 소식이었다. 우리 아빠가 워낙에 파바로티를 좋아했다. 1970년대 중반, 그러니까 아빠의 청춘 가운데 어느 한때, 막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파바로티가 내한을 왔던 적이 있었단다. 파바로티의 등장 전이라 하면 일왕이.. 2019. 1. 20.
러시아식 서정, 리히터의 '이 한 장의 음반' 어느 때건 유난히 떠오르는 음악이 있다. 봄에는 비발디를 찾게 되고 가을이면 브람스가 그리운 것처럼. 겨울, 특히 이 무렵은 차이코프스키와 라흐마니노프의 계절이다. 적어도 내게는 그렇다. 알알한 연횟빛 겨울 공기를 들이마실 때마다 생각이 난다. 일상의 틈으로 옛 러시아 작곡가들의 멜로디가 예고 없이 흘러나와도 전혀 이상할 게 없을 것 같다. 창창한 날조차도 씁쓸한 쓸쓸함이 맴도는 이맘때의 대기 같다고 할까. 낭만파의 마지막 수호자 내지는 최후의 낭만의 기수라 불리는 차이코프스키와 라흐마니노프. 이들의 음악은 화려하면서도 투박하고 섬세하면서도 둔중하다. 그 미묘하고도 야릇한 낭만으로 건조한 날들을 축이는 게, 요즘의 작은 사치다. 리히터의 차이코프스키-라흐마니노프 협주곡 시리즈는 여러모로 '단 한 장'의 .. 2015. 1. 16.
두 장의 모차르트 모차르트는 들을수록 좋다. 한 치의 꾸밈 없고 티없이 맑은 소리들에 취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알록달록하면서도 심금을 무겁게 울리는 그 선율에 감히 누가 범접이나 할 수 있을까. 그의 음악은 형언조차 머쓱해지는 영롱하고 거대한 세계다. 듣고 있으면 경이롭기가 그지없다. 갓 세상을 접한 아이의 순수와 생을 통찰한 현인의 관조를 동시에 담아낼 수 있는 유일한 음악. 바로 이이의 음악이 아닐까 싶다. 그의 음악은 사랑스러우면서도 웅장하고 화창하면서도 비장하다. 역사의 물결을 이겨낸 적잖은 음악가 중에서도 천재라는 수식어가 허용되는 단 한 명의 위인이자, 삶에선 한없이 아이 같았지만 음악 앞에선 더없이 위대했던 사람. 오직 모차르트다. 요즘은 새삼스러우리만치 모차르트 음악을 자주 듣는다. 사 둔 채 손도 대지 .. 2015. 1. 8.
2015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신년음악회 익숙한 색감과 부감으로 가득한 공연장을 카메라가 구석구석 훑는다. 렌즈의 동선을 따라 닿은 시선의 종착엔 늘 그랬듯 악단이 있다. 바이올린과 첼로와 플룻과 하프 따위를 든 오케스트라. 빈틈 없는 건물의 위압감이랄까, 고풍스러운 장식의 우아함이랄까. 무엇 하나로 특정하기 힘든 분위기가, 가까워지는 무대의 무게만큼 묵직하게 다가온다. 카메라 앵글을 차 오르는 화면의 틈새로 소리도 조금씩 들어찬다. 불협화음이다. 본 연주에 들어가기 전 음을 점검하는 잠깐의 시간. 저마다 징징대고 낑낑대는 음들로서야 비로소, 현장과 시간이 살갗으로 닿아오는 느낌이다. 이제 시작이다. 이 찰나마저도, 여기서는 연주다. 빈 필하모닉은 올해도 어김없었다. 1월 1일 정오, 오스트리아 빈의 무지크페라인 황금홀에선 여느 때처럼 신년음악.. 2015.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