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론과 편린 사이/책

<페스트>, 알베르 카뮈

by 디어샬럿 2016. 8. 22.




나는 인간들의 모든 불행이란 그들이 분명한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따라서 나는 정도를 걷기 위해 분명히 말하고 행동할 결심을 했습니다. (p.325)

“그렇지만 말이죠, 나는 성인들보다는 패배자들에게 더 많은 연대 의식을 느낍니다. 나는 영웅주의라든가 성스러움 따위에는 취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제가 관심을 갖는 것은 인간이 된다는 겁니다.” (p.327)

“남들은 이렇게 말하죠. <페스트야. 우리가 페스트를 견뎌냈다니까.> 자칫하다간 이건 뭐 훈장이라도 달라고 할 겁니다. 한데 말입니다, 페스트란 대체 무언가요? 인생인 거죠, 바로 그거죠, 뭐.” (p.393)



만성화한 재앙의 극단에서 삶의 무력에 정면으로 맞부닥친 인간의 모습을 담담하면서도 치밀하게 그린 수작이다. 시점에 다가서기는 하나 온전히 밀착하지는 않는 카뮈식 서사의 깊은 울림을 느낄 수 있기도 하다. 서술자인 리유를 통해 서사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타루라는 인물로써 속도감이 챙기지 못한 서사 혹은 서정의 치밀함까지 채워가는 점이 인상적이다.

카뮈는 이 작품을 통해 선악을 배제한 철저히 서사를 선보인다. 리유와 타루를 제외하면, 영웅주의를 배격한 채 오직 '인간'의 전형으로서 그가 추켜세우는 인물은 그랑이다. 페스트 이전이나 이후나 아랑곳 않고 밤마다 같은 문장을 수백 번씩 고치는 평범한 구청 말단직원인 그가, 난데없이 서술자 리유의 손을 빌린 카뮈의 눈에 든 이유가 무엇일까. 그가 매일 반복하는 일이 하필 같은 문장을 고치고 또 고치는 행위라는 것에 대한 의미는 무엇일까. 어쩌면 카뮈는 절대악이 지배하는 상황에서의 선이란 거창한 것이 아니라, 다만 흔들리지 않는 데서 출발한다는 중요성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무기력과 증오가 시류처럼 흐르는 194X년의 오랑. 본성과 일상을 지독하리만치 지켜나가는 일이야말로 가장 인간다우면서도 가장 어려운 일이라는 점을, 평범하기 그지없는 이 인물을 통해 카뮈는 강조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민감하게 '자기 자신'을 지켜내는 일 - 그 '인간다움'의 어려움에 대해, 일상을 성실하게 채워나가는 위대함에 대해 그는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페스트가 지배한 오랑의 고통과 좌절 속에서도, 리유의 차가우리만치 건조하고 냉정한 증언 속에서도, 작가의 말마따나 '승리'와 '반항'이 반짝이는 지점이라면 바로 이것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악이 일상의 가면을 쓰고 내면화한 시대, 우리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역설적으로 돌아보게 하는 책. 카뮈는 정말로 매력적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