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론과 편린 사이/극장만상

평론의 무게

by 디어샬럿 2015. 1. 2.

 

 

 

 

 

 

  2015년 첫날 영화 두 편을 봤다. 어떤 의미에서든 요사이 가장 회자되는 작품들이다. 공교롭게도 둘 다 평단의 평가는 썩 좋지 못하다. 확실히 플롯이 상투적이고 한정적이다. 영화를 구성하고 평가받게끔 하는 데는 여러 요소가 있기 마련. 그러나 스토리의 진부함은 여러 요소들 중에서도 작품에 가장 치명적인 타격이다. 흔한 소재나 빈약한 플롯을 안은 영화란 토대가 부실한 건물 같은 느낌이 든다. 영화가 단단해지지 못한다. 두고두고 보고 싶은 영화에서 일찌감치 제외된다.

 

  둘 중 하나는 '빤한 이야기'의 골조에 각종 장치들을 여기저기 덧대고 메운다. 남은 하나는 한계를 안고 담백하게 가는 방식을 택한다. 하나는 뻔한 재료에 조미료를 잔뜩 가미해 그럴 듯하게 요리했고, 다른 하나는 뻔한 재료의 잔잔한 맛도 음미해보라고 내놓았다. 보는 내내 박완서 작가의 문장이 머리를 맴돌았다. 

 

 

  서울 온 날 전차를 타는 대신 얻어먹은 국화빵의 달콤한 팥속 맛을 나는 결코 잊지 못했다. 그것은 엿이나 꿀의 단맛처럼 끈기 같은 게 가미된 강렬한 단맛이 아니라 부드럽고 순수하면서도 혀를 녹일 듯한 감미 그 자체였고 단 한 번에 나를 사로잡은 대처의 추파요, 대처의 사탕발림이었다. 국화빵이 아니더라도 알사탕이나 박하사탕 캐러멜 등 구멍가게에서 살 수 있는 모든 것에도 나를 못 견디게 현혹시킨 도시의 감미가 들어 있었다.

- 박완서, <엄마의 말뚝>

 

 

  굳이 비유하자면, <국제시장>은 도시의 감미 같다.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에는 호박조청의 맛이 난다. 같은 단맛도 누군가는 혀를 매끈하게 감아오는 하얀 설탕의 감미를 좋아할 것이고, 다른 누군가는 투박한 끈기가 도는 엿기름의 천연 단맛이 취향이라 할 것이다. 혹은 단맛을 싫어하는 이도 있을 수 있다. 단맛이 싫다는 사람에게, 내 식의 단맛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에게 단맛은 이게 진짜라며 추궁할 이유는 없다. 하얀 설탕이 주는 '대처의 사탕발림'이 몸에 도움되는 게 없다 한들 즐기는 건 개인의 선택이다.

 

  물론 작품성으로 보면 아쉬운 영화들이다. 좋게 말하면 감동 코드이고,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최루'에 가까우리만치 눈물을 '요구'하는 장치들이 곳곳에 포진해 있다. 관객의 취향에는 소구하는 소재다. 그러나 영화 자체로 훌륭한 작품이라 말하기는 힘들다. 평론가들의 박한 평가도 이 지점에 주로 기인하리라 본다. 특히 윤제균 감독의 영화는 나 역시 원래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영악함은 언제나 편치 못하다. <국제시장>의 경우도 관객의 즉흥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묘수가 듬성듬성 심어져 있다. 거기에, 이런 영화들이 으레 그렇듯 클리셰가 난무한다. 줄거리도 단순하다. 앞부분을 조금만 봐도, 심지어는 제목만으로도 결말이 유추되는 영화다. 그러나 성기디 성긴 작품을 이상으로 불편했던 건 다름아닌 평론이다.

 

  다양한 해석과 공감의 가능성을 일절 부정하는 각종 포털의 '평론가 한줄평'이 적잖이 놀랍다. 작품에 주력한 평론을 접하기가 이렇게나 힘든 영화도 처음이다. 영화들을 둘러싼 말들에 정작 작품이 없다. "지난 세대의 자기위안" "위로 혹은 면죄부". 갸우뚱했다. 언어가 과하다. 면죄부란 말의 파장을 충분히 고려한 거라면 더 문제다. 평론가란 직함에 한 세대를 함부로 단정할 권리가 있었던가. 면죄부 여부를 일방적으로 판결 받아야 할 세대가 존재한다면, 그런 우리 세대는 오늘 앞에 과연 얼마나 당당할 수 있을까. 공감이 힘든 평을 주욱 읽어나가다 "황혼이혼을 생각하는 이들에게"라는 한줄평에는 기함하고야 말았다. 영화의 진의라고는 딱히 평가할 생각도 없어보이는 감상. 나름대로 믿고 참고했던 이라 더 실망했다. 평론가라는 직업의 무게 치곤 너무 무책임한 언사다.

 

  이 영화들은 평론이 키웠대도 과언이 아니다. 생산적인 쪽이었으면야 좀 더 좋았을 것을. 정치적 언사를 모두 차치하고서라도, 영화들을 둘러싼 이번 평론들엔 핵심이 없다. 영화가 몸을 숨긴 자리에 말만 무성하게 피어오른다. 취향을 재단하고 타인의 인생을 부정하는 순간, 평론은 더 이상 평론이 아니다. 본인의 애호가 본인만의 것이 아니란 걸 안다면, 언제든 평가이자 지침이 될 수 있는 자신의 말에 무게를 느낄 일이다. 평론가의 감상은 공적 담론의 영역이다. 평론이 그때 그때 던지는 감흥 한 줄에 그쳐선 안 된다. 이 영화들에 주어진 밑도 끝도 없는 평론이 불편한 이유다.

 

 

 

 


'평론과 편린 사이 > 극장만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고 싶지 않은 꿈, <라라랜드>  (0) 2017.02.03
크리스마스의 콘서트  (0) 2014.12.27

댓글